c언어 4

c언어. 문자 자료형 사용하기

c언어에서는 char를 이용하여 문자나 문자열을 저장할 수 있고 char의 크기 및 범위는 char signed char 1바이트, 8비트 -128~127 문자 저장 unsigned char 1바이트, 8비트 0~255 바이트 단위 데이터 저장 그리고 char는 문자 자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닌 그 문자의 해당하는 정수 값을 저장한다. 그러면 그 문자의 정수 값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그것은 아스키(ASCII) 코드를 이용하여 알 수 있다. 32 0x20 공백(space) 64 0x40 @ 96 0x60 ` 33 0x21 ! 65 0x41 A 97 0x61 a 34 0x22 " 66 0x42 B 98 0x62 b 35 0x23 # 67 0x43 C 99 0x63 c 36 0x24 $ 68 0x44 D 1..

c언어 2021.07.15

c언어. 실수 자료형 사용하기

실수 자료형의 크기 및 범위를 먼저 알아보자 자료형 크기 범위 유효자릿수 비고 float 4바이트, 32비트 1.175494e-38~3.402823e+38 7 IEEE 754 단정밀도 부동소수점 double 8바이트, 64비트 2.225074e-308~1.797693e+308 16 IEEE 754 배정밀도 부동소수점 long double 8바이트, 64비트 2.225074e-308~1.797693e+308 16 IEEE 754 배정밀도 부동소수점 표 출처 코딩 도장 (https://dojang.io/mod/page/view.php?id=45) ‡참고 : 지수 표기법 { 아주 큰 숫자나 작은 숫자를 표기할 때 사용하는 표기법이다. 실수 e+지수 : 실수*10의 거듭제곱이며 예를 들어 2.1e + 4이면 2..

c언어 2021.07.15

C언어. 정수 자료형 사용하기

C언어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자료형을 제공해주는데 여기서는 정수형의 자료형과 부호를 알아보자 정수 자료형은 키워드와 크기를 붙여서 정의를 할 수 있는데 키워드는 signed와 unsigend 크기는 short, long이다 여기서 signed는 부호가 있음 표현을 하기에 보통은 생략한다. unsigned는 부호가 없음. 즉 0부터 시작을 표현한다. 아래의 표는 정수 자료형의 크기 및 범위를 나타낸 표다. char signed char 1바이트, 8비트 -128~127 unsigned char 1바이트, 8비트 0~255 short short int 2바이트, 16비트 -32,768~32,767 int 생략 가능 unsigned short unsigned short int 2바이트, 16비트 0~65,535..

c언어 2021.07.13

C언어. 변수 만들기

C언에서 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값을 다루는 프로그래밍을 할 시 변수선언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진행이 되지 않기에 변수를 사용하는 것 이다. 그러면 먼저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int number; 위와 같이 선언을 하는데 맨 왼쪽 int는 자료형을 뜻하며 오른쪽은 변수명이다. int는 integer의 축약형으로 정수를 뜻 하며 정수형 이므로 저장할 수 있는 값의 형태는 (...., -1 , 0 , 1, ....)이다. 그리고 변수명을 지을 땐 몇가지 규칙이 존재 한다. (이것은 하나의 약속 이므로 지켜줘야 한다.) 1. 영문자와 숫자 사용가능. 2. 대소문자를 구분함. 3. 무조건 문자부터 시작해야 하며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4. _(언더바) 로 시작이가능. 5. c언어의 특정 키워드로 변..

c언어 2021.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