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론
전향 추론: 규칙의 조건부와 만족하는 사실이 있을 때 규칙의 결론부를 실행
후향 추론: 어떤 사실을 검증 또는 확인하고 싶을 때 그 대상의 사실을 결론부에 가서 특정 규칙을 찾아 조건부의 조건들이 모두 만족하는지 확인:
확신도
규칙과 사실의 신뢰정도를 [-1, 1] 구간의 값으로 표현한다.
1은 단정적 신뢰, -1은 단정적 불신이다. 이를 가지고 구간의 값을 가지고 세세히 나눌 수 있다.
추론 규칙의 방식을 이용하여 if와 then 즉 조건부와 결론부를 가지고 사실을 유도하고 그 유도한 사실을 가지고 추론 결과의 확신도를 얻는다.
규칙에 대한 추론 결과의 확신도
확신도의 값을 알기위해선 규칙과 사실의 신뢰정보를 가지고 계산을 하면된다.
그림과 같이 규칙x사실을 곱해주면 추론 결과의 값이 나온다. 그렇다면 이를 응용하여 and와or이 있는 규칙을 이용하여 추론 결과를 이끌려면 어떻게 계산을 해야하나?
계산하는 방식은 똑같으나 사실 A와B중에 하나의 값을 가지고 계산을 해야한다 AND같은 경우는 둘중에 min의 값을 골라 계산을 해준다.
이유는 and는 곱의 형태로 계산을 해주는데 사실에 해당하는 부분의 신뢰정보가 1보다는 작기에 만약에 A와 B를 서로 곱해 계산해준다면 조건부의 값을 너무 지나치게 작게 만들어준다. 즉 원래 의도한 값보다 너무 작게 만들수 있기에 둘중에 그나마 작게 만들어 주는 값을 선택해준다.
이번엔OR이며 OR은 더하기의 형태로 계산을 해주기에 원래의 조건보다 더 큰 값을 유발할 수 있기에 둘중에 큰 값을 선택하여 그나마 크게 만들어 주는 값을 선택해준다.
여러 규칙에 의한 동일 사실 추론의 확신도 결합
여러 규칙들이 있는데 그 규칙을 통해 동일한 사실 추론의 확신도를 결합하는 예시를 봐보자.
A와 C라는 사실들이 있고 이 사실들을 B를 통해 규칙을 만들었을 때 동일한 사실 추론이 나온다. 이럴땐 일단 각각에 사실추론을 계산을 해준 다음 그 값의 범위에 따라 계산을 해주어 확신도를 얻으면 된다.